햇 생강이 나왔네요.
김치 담글 때 쓰고 많이 남아서 일부는 냉동 보관하고,
나머지는 생강 초절임 만들어보려고 해요.
초밥집 가면 락교와 생강 초절임 나오잖아요.
상큼하고 개운해서 혹시 모를 비린내를 확 잡아주더라고요~ 집에서도 손쉽게 만들 수 있다고 해서 처음으로 시도해봅니다
함께 만들어보실래요~~
[생강초절임 재료 준비]
생강 200g 정도
소독한 유리병
비트 분말 3g 정도(생략 가능)
물 1/2컵
설탕 1/3컵
식초 1/2컵
소금 3g 정도
(1컵=200ml 기준)
<만드는 과정>
01. 생강은 껍질을 제거해요
02. 채칼 등으로 얇게 썰어줍니다
(*채칼 사용시 손 주의하세요!)
03. 끓는 물에 3분 정도 데쳐냅니다
(데치는 시간을 오래 두면 생강의 아린 맛이 빠지는데요.
생강 특유의 향이 날아갈지도 모르니 기호에 따라 조절하면 돼요~)
04. 데친 생강은 재빨리 찬물에 헹궈 전분을 제거하고 물기를 빼줍니다
05. 초절임물을 끓여줍니다
-물 1/2컵. 설탕 1/3컵. 소금 3g 정도 먼저 끓이다가,
06. 비트 분말 3g을 넣고(생략해도 돼요~)
식초 1/3컵을 넣어 마지막 끓어오르면 불을 끕니다
07. 물기를 빼 놓은 생강을 소독한 병에 담고,
끓인 초절임 물을 뜨거울때 부어 뚜껑을 닫아요 실온에 하루 정도 뒀다 냉장고에 넣고 7일 정도 숙성 후에 먹으면
매운맛이 약간 빠져 맛있는 생강 초절임 맛을 즐길 수 있답니다~
냉장 보관 후 7일 정도 됐어요
아직 약간 매운맛이 있긴 한데, 그래도 생강 특유의 매운맛이 깔끔해요~
비트 분말을 넣었더니 생 비트를 넣었을 때보다 색이 예쁘지 않네요 ㅜㅜ
생강 그 자체의 색이 좋으면 비트는 생략해도 된답니다^^
초절임 물 비율은 물 1: 식초 1: 설탕 1을 기본으로 잡고,
기호에 따라 가감하시면 됩니다~ 생강 초절임 만들어 고기나 생선요리와 함께 드셔 보세요^^
상큼하답니다~ 날씨가 많이 추워졌어요
건강도 잘 챙기세요:)
'반찬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요리초보도 냄새 없이 부드럽게 [앞다리살 수육] 삶는 초간단 비법 (feat. 쌍화탕) (1) | 2022.12.03 |
---|---|
요리초보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파김치 담그는 법 (feat. 쪽파) (2) | 2022.12.01 |
요리초보도 쉽게 만드는 아삭하고 건강한 [배추 볶음 나물 무침] 레시피 (feat. 팽이버섯) (0) | 2022.11.22 |
누구나 쉽고 맛있게 매콤한 오징어 야채 볶음 만드는법 (feat. 냉동오징어 손질) (0) | 2022.10.31 |
다발무로 큼직한 무김치 담그는 법 & 무시래기 만드는 법 (feat. 무시래기 보관법) (1) | 2022.10.29 |